본문 바로가기
투자 공부

보유 중인 중국주식 현황과 주저리

by 챠티스트 2025. 2. 23.
반응형





2023년 7월 31일 VS 2025년 2월 21일




 

최근 중국 주식시장이 상승하고 있다. 주식이 상승하고 하락하는 것은 누구도 알 수 없으나, 난 존버했고 현재 상황이 위에 보이는 해외주식 손익 창이다. 왼쪽이 2023년 7월 31일 기준이고 오른쪽이 2025년 2월 21일 기준이다. 
 
금액은 모자이크 했고, 종목명과 %만 자세히 보시길 바란다.
중국주식 중 텐센트만 비중이 크고 나머지 종목은 소액이다. 텐센트는 존버 끝에 -21%에서 현재 +29% 수익이다. 텐센트는 언젠가는 상승할 것이라는 확신이 있어서 비중은 컸어도 그다지 신경쓰지 않았다. 1월 초, 주요하게 보는 보조지표와 매물대에서 텐센트가 상승할 것이라는 신호가 들어왔었다. 그러나 과거 2020년 10월, 중국 금융 규제 비판에 대한 마윈 회장의 발언 이후 정치적 탄압에 주식시장이 날아간 것을 재삼 고려해서 추가매수는 안했다. 앞으로 유지 또는 매도만 할 예정이다. 
 
두 번째에 있던 메이투안은 2023년에 텐센트에서 배당으로 준 것인데 작년 말에 정리를 했다. 마지막에 비리비리는 현재 -70%다. 하락 시 떨어지는 칼날을 차마 잡을 수 없었고, 미국주식이 상승하면서 마음의 안정을 찾아, 소액으로 매수한 데다 상폐까지 될 수도 있을 것(?), 또는 밈주식은 아니지만 중국주식 자체가 상승할 때는 또 걷잡을 수 없기에 이왕 바닥인 거, 편한 마음을 가져보기로 하면서 여전히 유지 중이다. 
 
 
 
 
 

반응형

 
 
 
 
왜 중국주식이 상승하는지 주요 원인들을 검색해보았다. 

1. 적극적인 경제 부양 정책
2024년 10월, 경기 부양을 위해 국채 발행을 대폭 확대할 계획을 발표했다. 이러한 국채 발행은 저소득층에 대한 보조금 제공, 침체된 부동산 시장 지원, 국유은행 자본 확충 등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특히, 국유은행 자본 확충은 특별국채 발행을 통해 최대 1조 위안(약 190조 원)을 투입하는 방안이 고려되고 있다. 

2. 통화 정책 완화
2025년 1월 3일, 중국인민은행(PBOC)은 적절한 시기에 정책금리를 인하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3. 부동산 시장 안정화 조치
부동산 시장의 침체를 해소하기 위해, 중국 정부는 지방정부가 채권을 발행하여 미분양 주택을 매입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등 다양한 지원책을 도입했다. 

4. 주식시장 지원 정책
중국 증권감독관리위원회(CSRC)는 중국 주식 시장 규제를 강화하기 위한 일련의 규칙 초안을 공개하기도 했다. 이러한 규칙 초안은 기업 상장 및 상장 폐지에 대한 감독을 강화하고 컴퓨터 기반 프로그램 거래를 더욱 엄격하게 규제하기 위해 마련되었으며, 투자자, 특히 소액 투자자의 이익을 보호하기 위해 기업공개(IPO)에 대한 보다 엄격한 요건을 시행할 계획이다.

5. 외국인 투자자들의 관심 증가
데이비드 테퍼는 2023년 4분기에 중국 주식과 상장지수펀드(ETF) 투자를 대폭 확대하였다. 특히, 중국의 전자상거래 기업인 JD닷컴과 알리바바의 지분을 대량으로 매입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로 인해 애팔로사의 총 운용 자산 중 중국 관련 자산이 차지하는 비중이 크게 증가하였다.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인 블랙록은 현재 중국 주식을 '비중확대'로 평가하고 있으며, 다수의 펀드 운용사들이 중국 대형주와 중국 상장지수펀드(ETF) 매수에 나서고 있다. 
 
미국에 본사를 둔 마운트 루카스 운용사는 중국 상장지수펀드(ETF) 및 징동닷컴 등의 콜 스프레드에 참여하며, 중국 주식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싱가포르의 GAO 캐피털은 이전에 차익거래 전략으로 중국 노출을 줄였으나, 최근 다시 롱 포지션으로 전환하여 중국 대형주를 매수하고 있다.

6. 기술 및 금융 분야의 강세
로봇 공학과 금융 기술 분야의 주식이 두드러진 상승세를 보였다. 이는 기술 발전과 정부의 정책 지원이 맞물려 해당 산업에 대한 투자자들의 관심이 높아졌다고 보고 있다. 


종합적으로, 중국 주식시장의 최근 상승은 정부의 적극적인 경제 부양책, 통화 정책 완화, 부동산 시장 안정화 조치, 주식시장 지원 정책, 외국인 투자자들의 관심 증가, 특정 산업의 강세, 그리고 투자자 심리 개선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이러한 요인들이 상호 작용하여 시장의 활력을 높이고, 주가 상승을 견인하고 있다.
 
 
"소문에 사서 뉴스에 팔아라"라는 말이 있듯, 이렇게 알려진 뉴스로 중국/홍콩주식을 매수하는 것은 추천하지 않는다. 또한 정치가의 한마디 말에 나락으로 갈 수 있는 나라니까 말이다. 한 번만 당하겠다. 텐센트는 차트를 보다가 어깨에 팔 예정이고, 나머지도 조금 더 올라오면 손절할 계획이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