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 공부

IRP 수익률, 국민은행에서 IRP 가입 (개인형 퇴직연금)

by 챠티스트 2021. 6. 8.
반응형

 

 

 

 








작년에 국민은행에 갔다가 창구에서 업무처리를 기다리는 중에 테이블에 붙어있는 IRP 설명서가 붙어있었다. 눈길이 한참 가 있다보니 직원의 권유에 어떨결에 가입하게 되었다. 생각하지도 않은 것이고 주식을 하는 중이라 부담없이 10만원씩만 하기로 했다.

IRP는 재직자만 가입할 수 있고, 연간 700만원(50세 이상은 2022년까지 900만원)까지 가입액에 대한 세제혜택을 받을 있다. 연봉 5,500만원 이하일 경우 16.5% 공제, 5,500만원 초과시 13.2% 공제된다. 최대 700만원을 넣으면 5,500만원 이하자는 1,155,000원, 5,500만원 초과자는 924,000원이 공제되므로 공제액이 크다. 한도는 연금저축보험이나 연금저축펀드를 포함한 금액이다.

은행에서 가입할 때는 예금으로 했지만, 며칠 뒤 바로 국민은행 인터넷뱅킹을 통해 펀드로 갈아탔다. 국민은행 인터넷뱅킹에 들어가서 상단 탭의 <퇴직연금>으로 들어가면, 내가 가입한 IRP와 회사에서 적립중인 퇴직적립금 두 개를 볼 수 있고 IRP상품을 언제든지 변경할 수 있다.

 

 

국민은행 인터넷뱅킹 개인계좌

 



위 이미지에서 '개인형 IRP'의 <기간별 수익률조회>를 클릭해서 들어가면 아래의 메뉴가 나온다. 1년 1개월 넣어서 130만원을 적립했다. 자세한 수익내용을 보려면 빨란 동그라미를 누르고 들어간다.

 

 

 

 

 

개인형 IRP 수익


<축의 전환>책을 통해 인도에 대해 관심이 생겼지만, 인도주식 중 어떤 주식이 좋은지는 전혀 알 수 없었다. 예전에 베트남 펀드의 좋은 기억으로 인도도 펀드로 한 번 해보기로 하고 가입했다. IRP 등의 퇴직연금은 70%만 손실발생 가능한 위험자산 상품, 30%는 손실발생 없는 예금으로 들어가야 하기 때문에 아래처럼 펀드 70%와 예금 30%로 변경해야 한다. 매달 수익관련 문자가 오는데 현재는 그대로 유지되고, 혹시 다음에 상품변경시 70:30의 비율로 변경해야 한다는 설명이 있다. 현재 수익률은 펀드만으로는 19.63%, 예금까지 포함하면 총 13.92%이다.

위 이미지를 보면 왼쪽 하단에 [개인형IRP 신규]를 클릭하면 신규가입이 가능한 것 같다. 서류가 많았는데 읽어보기도 복잡하므로 창구에서 가입 후 인터넷뱅킹으로 변경하면 편리할 것 같다. 누가 해주는 것이 젤 좋은 나이.

 

 

 

반응형

 



상품변경은 아래 이미지의 상단에 있는 노란버튼 [상품변경 바로가기]를 통해 언제든지 가능하다. 상품을 변경하면 완료시까지 한 10일 이상 걸리는 것 같고 증권사처럼 상품이 다양하지 않다. 그리고 또다른 단점은 인터넷뱅킹 상에서는 인도의 어느 회사에 투자하고 있는지 바로 알 수 있는 메뉴가 없다.

 

 

 

 

 

IRP 수익


매달 문자로 아래 이미지처럼 수익률 통지가 날아와서 인터넷뱅킹에 굳이 들어가지 않아도 확인할 수 있으므로 편리하기도 하다. 누적수익률과 전월대비 수익 등 자세히 나와있다. 40대 평균보다 높다니 으쓱할 뿐.

 

 

 

 

IRP 수익 문자

 

 

작년에 가입해서 올해 국세청 연말정산 간소화서비스에 확인해보니 자동으로 연계되어 나와있었다. 따로 연말정산용으로 서류를 떼지 않아도 되서 편리하다.

IRP는 단지 55세가 지나야 수령할 수 있고 최소 5년 이상 유지해야 하며 차후 소득세, 수수료 등이 부과될 수 있다고 하는데 정확한 금액은 수령시점에 알 수 있을 것 같다. 나이가 어리다면 55세까지는 한참 기다려야 하므로 또다른 기회비용 손실이 발생할 수 있을 것도 같다.


 

6월 18일 뉴스를 보다보니, 4월부터 삼성증권에서 IRP 수수료를 무료로 서비스를 시작으로 이제 대부분의 증권사에서는 IRP 수수료가 없는 것 같다. 신규로 IRP를 이용하려면 은행보다 사용하고 있는 증권사에 IRP 수수료가 0인지 확인하고 가입해야할 것 같다.

IRP수수료를 대략적으로 삼성증권에서 계산해보는 페이지가 있다. 이 설명대로 금융사별로 수수료가 다르니 직접 물어보는 것이 정확하겠지만 어느 정도인지 감을 잡을 수 있다.

--> 삼성증권 홈페이지 IRP 수수료 계산 페이지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