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에 존리님의 유튜브를 보면 항상 강조하는 것이 퇴직연금을 주식형 펀드로 바꾸라는 것이었다. 처음에는 귀찮기도 하고 원금이 없어질 것만 같기도 해서 넘겨듣고 말았는데, 어느 날 문득 인터넷뱅킹에 접속해 메뉴들을 살펴보고 싶었다. 어떻게 변경하는 방법만 보자고 하다가 하다보니 그 날 바로 변경했다. 물론 퇴직적립을 DC형으로 되어있을 때만 가능하고, DB는 회사에서 운용하는 것이라 불가능하다.
DC형은 퇴직적립금 운용 은행 인터넷뱅킹 등에서 적립금 전체와 현재 운용상품을 확인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은 DC형일 때만, 그리고 국민은행의 경우에 해당된다.
퇴직연금은 위험자산상품 70%, 원리금보장 상품 30% 비율로 가입해야 한다. 처음엔 중국 4차산업펀드 70%와 예금 30%로 구성했다. 시간이 지나 작년 어느 날, 중국주식이 고점인 것 같아 환매하고 미국 위주의 글로벌 무슨 펀드, 중국 본토 고배당을 주는 위험이 조금 낮은 펀드, 로봇테크 펀드를 나누어 70%, 예금 30%로 4가지로 변경했다. 올해 초 미국, 중국, 한국증시들이 떨어지긴 했지만 2분기에 중국 제외하고 더 올랐는데 내가 변경한 펀드들은 작년 수익에서 반이 없어져있는 상태로 계속 가는지 잘 모르겠다. 원금은 항상 수익률 고점인 것이 원금 같은 이 느낌.
회사에서 50대 이상인 몇 분들이 퇴직연금을 펀드로 변경하고 싶은데, 잘 모르겠다고 도움을 요청하셔서 변경해드렸다. 다 아는 정보임에도 이런 정보를 찾는 사람이 있을 것 같아 올려본다.
아래는 국민은행 인터넷뱅킹이고 로그인해서 상단 탭에 [퇴직연금] 메뉴를 클릭한다. 현재 IRP도 10만원씩 적립하고 있어서 함께 뜨고 있고, 회사 퇴직연금은 둘째줄의 확정기여형(DC)라고 나온 것이 회사에서 납부 중인 퇴직연금이다.
위에서 [기간별 수익률조회] 버튼을 클릭하면 아래 화면이 나온다. 빨간 동그라미 클릭.
기존에 보통 예금으로 되어 있을 것인데, 기존 상품과 앞으로 적립될 퇴직적립금을 한 번에 변경하려면 아래의 [보유상품 변경]을 클릭한다. 혹은 기존의 적립금은 기존 상품대로 두고, 앞으로의 적립금만 변경하려면 [입금 예정상품 변경]을 클릭한다.
다음 화면에서 아래의 팝업창이 뜨는데 항상 '아니오'를 클릭했다.
직접 예금이나 펀드의 상품을 고르려면 하단의 [상품 찾기] 클릭.
펀드는 원금 비보장이라는 메시지가 보인다. 펀드는 손실이 날 수 있으니 본인이 몇 퍼센트까지 손실을 감수할 수 있는지 생각해보고 들어가야 한다.
위에서 '원리금보장상품 + 펀드운용'을 클릭하면 아래와 같은 팝업이 뜬다. 동의를 클릭하고 확인버튼을 누른다.
아래처럼 설문이 나온다. 한 15개인가 나왔던 것 같다.
위 질문 중에 손실감내에 대한 질문에 대해 작년에 보수적으로 했을 때는 안정형이라고 투자하지 말라고 떠서 다시 문제를 풀었던 기억이 난다. 본인의 손실 감내 수준에 대해 잘 생각해야 한다. 은행 펀드라고 수익이 나는 것은 아니다.
이후 아래 이미지처럼 상품종류를 '펀드'로 선택하고 상품명에 '중국'이라고 검색해보면 그 때 그 때 다르지만 펀드리스트가 뜬다. 최근 중국증시가 안 좋았기 때문인지 다 마이너스이다. 원하는 국가나 테마를 검색해서 선택해서 70%로 맞춘다. 여러개의 펀드를 선택하고 합이 70%로 맞춰도 된다.
그 다음에 '원리금보장상품만 운용'을 선택하면 금리많은순으로 정렬이 되니 제일 위에 것을 선택하거나, 혹은 기존 예금을 찾아 선택하면 해지절차가 없으니 처음에 약정한 금리로 만기까지 유지된다.
아래 이미지처럼 예를 들어 선택해보았다.
이후 화면은 상품설명서 등과 동의, 유선설명에 대한 동의, 유선설명 거부시 불완전판매임을 알고 매수함에 대한 동의 등이 있던 것으로 기억한다. 아직 지금 운용하는 상품으로 갈 예정이라 넘기지는 않았다.
나중에 퇴사후 IRP로 옮겨가게 되면, 그 때부터 수수료가 나온다고 들었는데 바로 입출금통장으로 이체하지 않고 몇 달을 IRP에 두었더니 생각하지 못했던 수수료를 냈다는 퇴사자도 있었다.
국민은행에서 각 펀드마다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지 아주 가끔 메일로 자료가 오는 것을 받은 적이 있는데, 수시로 어떻게 운영하고 있고 환매율는 어떻게 되고 있는지 운용금액은 얼마인지 최소 일별로라도 나왔으면 좋겠다. 퇴직연금은 장기투자해야겠지만 정보가 없는 펀드, 그게 크게 불편한 점이다.
'투자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 시총 1위 귀주모태주 주식 (1) | 2021.06.12 |
---|---|
은행 외화계좌로 주식투자하기 (달러로 주식투자), 삼성증권 - 신한은행 (0) | 2021.06.09 |
IRP 수익률, 국민은행에서 IRP 가입 (개인형 퇴직연금) (1) | 2021.06.08 |
댓글